장난꾸러기 이항복과 평생 단짝 이덕형의 익살 섞인 이야기, 할아버지를 욕한 시로 장원급제한 것을 부끄럽게 여겨 삿갓 쓰고 떠돈 방랑 시인 김삿갓 이야기 등 공감력을 키워주고 재미와 유익함을 더해주는 위인들의 숨은 이야기! 우리나라에는 오천 년이라는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훌륭한 위인들이 많다. 대개는 학교에서 배운 인물들이 전부인데, 그것만으로 위인들을 깊고 폭넓게 알기 어렵다. 그래서 교과서에 수록된 위인들 중에 어린이들이 좀 더 폭넓고 재미있게 알아두면 좋을 인물들을 꼽아 보았다. 이 책에는 조선시대의 위인들 중에서도 충신, 학자, 재상, 시인, 문장가, 서화가 그리고 가문을 일으킨 여성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수록되어 있다.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을 대비하고 극복한 명재상 유성룡과 영웅 이순신 장군, 시각장애인이지만 3대 재상과 대제학을 배출하여 평범한 시댁을 명문가로 만든 고성 이씨 부인, 유머와 재치로 많은 일화를 남긴 평생 단짝 오성 이항복과 한음 이덕형, 칼이 아닌 붓 한 자루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한 문장가 이정구, 20여 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을 도우며 자연을 노래한 최고의 시인 윤선도, 공자·맹자 등과 같이 조선에서 유일하게 ‘송자’로 불린 나라의 스승 송시열, 암행어사 하면 으레 떠올려질 만큼 가난한 백성들의 영웅이 된 암행어사 박문수, 정조대왕을 도와 개혁을 시도하고 수원 화성을 완성시킨 뛰어난 재상 채제공, 백성이 잘사는 나라를 꿈꾸며 500여 권의 책을 쓴 실학자 정약용, 유배지에서 추사체를 완성한 조선 최고의 명필 김정희, 자신의 할아버지를 욕한 시로 장원급제한 것을 부끄럽게 여기며 평생 삿갓을 쓰고 전국을 떠돈 방랑 시인 김병연 등. 이들의 이야기는 관련 유적의 사진들과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그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초상화부터 태어나거나 자란 생가 또는 그 터, 공부하던 서원이나 자주 오르던 정자, 쓴 책이나 그림 또는 글씨, 그리고 그들이 묻힌 묘 등의 다양한 사진들이 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이 책에는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 벼슬 이름이나 용어, 내용과 관련하여 알아 두면 좋은 참고사항 등을 본문 아래쪽에 추가함으로써 글을 이해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책의 끝에는 왕릉과 사대부 묘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는 부록도 마련하였다. 이 책의 목적 중 하나가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련 유적지를 직접 방문해보기를 권하는 것인데, 그렇게 함으로써 책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유적지에서 되새겨보고 그 숨결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하고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첨부한 부록을 통해서도 왕릉을 방문할 때 무의미하게 흘려버릴 수 있는 그 시간들을 새롭고 의미 있게 만들어 줄 것이다. 그중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말하자면, 왕릉이나 묘 또는 서원 같은 곳에는 함부로 아무 데나 들어가거나 걸어 다니면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죽은 자와 산 자의 공간이 엄격하게 구분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책을 읽다 보면 위인들의 어린 시절도 오늘날 어린이들의 어린 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어린이 독자 여러분이 역사적 위인들에게 한 걸음 더 가깝게 다가가고 공감하면서 재미와 유익함을 함께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정인수 유난히 호기심이 많았던 어린 시절부터 이것저것 해보느라 늘 바쁜 학생 시절을 보냈답니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한 후, 두산그룹 홍보실에서 근무했고, 그 뒤 철도여행 잡지 《레일로드》에서 편집장으로도 활약했습니다. 현재는 프리랜서 작가로 우리 역사와 문화의 소중함을 알릴 수 있는 글을 쓰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요즘은 도시를 떠나 산속에 콕 박혀 조금 한가롭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침마다 찾아오는 왜가리와 인사를 나누고, 가끔 산길에서 산토끼와 고라니도 만나는 즐거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 즐거운 일은 이렇게 어린 학생들을 만나는 것입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그리고 항상 즐거운 나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저서 《어린이들이 꼭 가봐야 할 박물관》 시리즈, 《둥글둥글 지구촌 이야기》(축제, 관혼상제), 《체험학습으로 배우는 무형문화재》, 《초등학생이 꼭 가야 할 교과서 역사여행》, 《한 권으로 읽는 교과서 속 세계 역사·문화 이야기》, 《사찰기행》, 《인물유산답사》 시리즈 등
책머리에
국난 극복의 명재상 류성룡 학문이 깊은 소통의 달인 미친 숙부 덕에 임진왜란을 대비하다 총사령관이 되어 국난을 극복하다 《징비록》 집필, 충효의 가훈 남겨
대구 서씨를 명문가로 만든 고성 이씨 부인 남편의 죽음으로 한양으로 이사하다 명문가의 기틀을 마련하다 3대 재상과 대제학을 배출한 약봉가
민족의 영웅 이순신 장군 전쟁놀이를 하던 꼬마대장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강직한 성품 첫 번째 백의종군 왜군을 무찌르고 삼도수군통제사에 오르다 정유재란의 발발, 두사충과의 인연 명량대첩으로 임진왜란을 끝내다 이순신의 묘와 유물들
국난 극복의 충신 이항복 유머가 넘치는 아이 정여립 모반 사건을 해결하고 평난공신이 되다 위기에 더욱 빛난 이항복 조선 최고의 재치꾼 유배지에서 맞은 임종
임진왜란 구국의 명신 이덕형 오성 이항복과 함께 공부하다 임진왜란 때 능력을 발휘하다 공신을 사양한 명신 쓸쓸한 죽음
붓으로 나라를 지킨 문장가 이정구 붓 한 자루로 나라를 구하다 이항복은 백사, 이정구는 월사 청빈하게 산 이정구 부부 병자호란 풍파를 겪은 이정구 가문 조선 최고의 가문이 된 까닭
조선 최고의 시인 윤선도 유배 떠나는 성균관 유생 신선처럼 살았던 은거생활 유배생활만 20여 년 가난한 이들을 돕고 명당에 묻히다 보물이 가득한 해남 윤씨 종가 녹우당
송자로 불린 대학자 송시열 공자와 맹자의 학문은 이제 동방으로 왔노라 예송 문제로 당파 싸움 주도하다 사후에 국가의 스승 송자가 되다
가난한 백성들의 영웅 암행어사 박문수 암행어사 이야기 실록에도 나오는 어사 박문수 이야기 백성들의 삶을 우선시한 정치가 병천 시장을 세우고 은석산에 묻히다
국가 발전의 초석을 이룬 명재상 채제공 가난했지만 남달랐던 어린 시절 3대를 모신 명재상 정조대왕을 도와 국가 개혁 시작 수원 화성을 완성하다 죽어서도 정조대왕을 도운 채제공
부강한 나라를 꿈꾼 실학자 정약용 정조대왕의 신임으로 초고속 승진 당쟁으로 희생당한 정약용 죽음의 고비를 넘기고 유배지에서 실학을 완성하다 자찬묘지명과 죽음
조선 최고의 명필 김정희 해동 제일의 문장 안동 김씨 모함으로 제주도로 유배를 가다 유배지에서 완성한 추사체와 <세한도> 과지초당과 봉은사에서 말년을 보내다 고국으로 돌아온 <세한도>
삿갓 쓴 방랑 시인 김병연 할아버지를 욕하는 시로 장원급제하다 해학과 재치가 뛰어난 방랑 시인 백성들의 한을 풀어 준 김삿갓 화순의 적벽에 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