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나라의 의약품 공정서[《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된 약재 중에서 《동의보감》 탕액편에 조선시대에 한글 이름으로 기록된 약재를 찾아 선보이는 책이다. 현재의 약재 이름과 《동의보감》 발간 당시인 조선시대의 한글 약재명이 같은 경우는, 녹두(녹두), 대추(대츄), 모과(모과), 비자(비), 생강(강), 오미자(오미), 향부자(향부) 등이며, 약재의 기원식물이 조선시대와 지금의 식물명이 같은 경우는, 갈근(칡, 츩불휘), 길경(도라지, 도랏), 도인(복숭아나무, 복숑화), 음양곽(삼지구엽초, 삼지구엽플) 등이 있다. 그 밖에 괴좃나모여름(구기자), 두루믜나이(정력자), 두여머조자기(천남성), 샤양불휘(전호), 뎔가릿불휘(승마), 암눈비얏(충위자), 어어리나모여름(연교), 회초밋불휘(관중) 등 낯선 이름을 만나보는 것은 읽는 이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것이다. 이 책은 구성은 시각적으로 한 눈에 쉽게 알아보도록 구성하였으며, 저자가 직접 촬영한 풍부한 약초와 약재 사진 및 비교 약초 사진,《동의보감》의 효능, 원문은 물론 약효해설, 약용법 등을 담은 이 책이 약초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 및 실무에 종사하는 제조업자 그리고 약초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학교 명예교수인 저자의 연구분야는 한약(약용식물 포함)의 약효성분과 효능, 식품(김치 포함)의 기능성이다. 세계약초연구원을 설립하여 원장을 맡고 있다. 부산대학교 약학과(약학사, 약사)를 졸업한 후, 부산대 대학원 약학과에서 약학석사와 약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조지아대학, 일본의 도야마의과약과대학, 오카야마대학, 미야자키대학에서도 연구했다. 사진촬영에 관심이 깊어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책을 발간했다. 단독저자로 발행한 약초 저서로는 《동의보감 무병장수 약초》, 《동의보감 속 우리약초》, 《유럽의 약초와 식물원》, 《세계의 약초와 향신료》, 《세계의 약초, 어디에 있는가》, 《한국의 약초》, 《식약처가 공인한 식품 약초 한약 백과》, 《약초 한약 대백과》, 《향신료 백과》, 《약이 되는 열대과일》, 《동의보감 건강약초·약차·약술》, 《중국 약용식물과 한약》, 《일본 약용식물·한방약 도감》, 《생약·한약·기능식품 통섭사전》, 《한방건강기능식품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기능성식품의 천연물과학》이 있다.
약력 • 세계약초연구원 원장(현재) •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총동문회 부회장 • 제39회 스승의 날 기념 대통령 표창 수상 • 정부 훈장(녹조근정훈장) 수여 받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관평가 연구분야 분과장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 전남한방산업진흥원 운영위원 • 순천시 한방산업자문단 위원장 • 고용노동부 지원 정원박람회 일자리인적자원개발사업단(한방약초디스플레이, 한방약초스토리텔링, 약선음식, 정원관리 과정) 단장 • 산업자원부 지정 RIS 김치사업단 순천대센터장 • 사단법인 한국김치협회 회장 • 순천대 한의약연구소 고문(현재) • 순천대 김치연구소 고문(현재) • 세계의 약초 특별전, 개인 전시회 개최(서울강서구 허준박물관 특별전) • 세계의 약초를 만나다展, 개인 전시회 개최(순천대 박물관 특별전) • 박종철 교수가 모은 순천대 30년 기록展, 개인 전시회 개최(순천대 박물관 특별전)